우리아이 '처음코딩' 아달로그 로봇이예요.
교육철학
우리아이 '처음코딩' 아날로그 로봇이에요.
페퍼트는 '구성주의'로 알려진 피아제의 인식론을 연구했다.
구성주의란 학슴의 중심이 교사가 주도하는 지식의 잔달이 아니라, 학생이 주도하는 지식의 재구성에 있다는 이론이다.
즉, 학습의 효율은 실제 세계에 존재하는 구체적인 사물을 창의적으로 만지는 과정, 뭔가를 만들어가는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제고될 수 있다는 것이다.
최고의 게임은 아이들로 하여금 어렵게 도전해서 뭔가를 이루도록 유도하는 게임이다. 쉽다고 선전하는 게임 광고를 본적 있는가?
학교 커리큘럼이 잘못된 점은 지식을 잘게 쪼개 전달함으로써 학습을 최대한 쉽게 할 수 있다록 하려는 것이다.
아이들에게 물어보라.
학교를 싫어하는 까닭은 공부가 어려워서가 아니라 지겹고 따분해서라고 대답할 것이다.
Seymour Aubrey Papert (born Februay 29, 1928)
MIT 수리컴퓨터 과학자이자 교육자, 인공지능 개척개발자이며 Wally Feurzei와 함께 LOGO 프로그래밍 언어를 개발 (인용 : 위키피디아)
'LOGO 거북' 활동
LOGO Turtle
비봇 Bee-Bot
로봇을 이용한 피지컬 코딩
LOGO 언어를 통한 다양한 프로그래밍
01 | 학생들의 행동과 밀접하게 관련되기 때문에 신체동조적이다. |
02 | 절차적 언어이다. |
03 | 어떤 절차가 그 절차 내의 부분이 될 수 있는 재귀적 언어이다. |
유아나 아동 놀이에 영향을 주는 사회적 변인으로서의 성인은 유아나 아동이 높은 질의 성공적인 놀이자로 발달하는데 중요한 변인이 된다.
특히 교사는 유아나 아동의 적극정인 놀이 참여를 유도하여 유아나 아동 놀이를 정교화 하는데 도움을 주며, 놀이 행동을 교육적으로 이끄는 역활을 한다.
교사는 놀이의 개입 시기와 유형을 민감하게 판단하고, 적절한 발문을 통해 유아나 아동 스스로 생각하고 행동 함으로서, 최대의 학습과 발달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재미있는 이야기를 통해, 집중력과 표현력을 기르고, 신체활동과 로봇 활동을 통해 사고력과 창의력을 키울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주제에 따른 이야기를 함께 하며,
주인공의 문제를 해결해 보아요.
카드를 이용해 다양한 게임을 즐기며,
사고력을 키워요.
매직그라운드 위에서 다양한 몸동작을 하며,
로고 명령어를 익혀요
로봇 매트에서 경로를 예측하여
목적지로 이동하는 프로그래밍을 해요.